프로그래머스 징검다리 건너기
1. 문제
카카오 초등학교의 "니니즈 친구들"이 "라이언" 선생님과 함께 가을 소풍을 가는 중에 징검다리가 있는 개울을 만나서 건너편으로 건너려고 합니다. "라이언" 선생님은 "니니즈 친구들"이 무사히 징검다리를 건널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규칙을 만들었습니다.
- 징검다리는 일렬로 놓여 있고 각 징검다리의 디딤돌에는 모두 숫자가 적혀 있으며 디딤돌의 숫자는 한 번 밟을 때마다 1씩 줄어듭니다.
- 디딤돌의 숫자가 0이 되면 더 이상 밟을 수 없으며 이때는 그다음 디딤돌로 한 번에 여러 칸을 건너뛸 수 있습니다.
- 단, 다음으로 밟을 수 있는 디딤돌이 여러 개인 경우 무조건 가장 가까운 디딤돌로만 건너뛸 수 있습니다.
"니니즈 친구들"은 개울의 왼쪽에 있으며, 개울의 오른쪽 건너편에 도착해야 징검다리를 건넌 것으로 인정합니다.
"니니즈 친구들"은 한 번에 한 명씩 징검다리를 건너야 하며, 한 친구가 징검다리를 모두 건넌 후에 그 다음 친구가 건너기 시작합니다.
디딤돌에 적힌 숫자가 순서대로 담긴 배열 stones와 한 번에 건너뛸 수 있는 디딤돌의 최대 칸수 k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최대 몇 명까지 징검다리를 건널 수 있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징검다리를 건너야 하는 니니즈 친구들의 수는 무제한이라고 간주합니다.
- stones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200,000 이하입니다.
- stones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1 이상 200,00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k는 1 이상 stones의 길이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2. 접근
stones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최대 200000000까지 가능하다.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for문을 통한 해결방법을 시도했을 때(O(n)) 시간 초과를 생각했다.
시간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방법을 고민하다가 몇 명이 되는지 탐색해야 했기 때문에, 이분탐색 알고리즘을 생각했다.
3. 코드
function solution(stones, k) {
var s = 1, e = 200000000
var answer = 0;
while (s <= e) {
var mid = Math.floor((s + e) / 2)
var check = stones.map(item => item - mid)
var flag= 0, cnt = 0
for (var stone of check) {
if (stone < 0) cnt++
else cnt = 0
if (cnt >= k) {
flag = 1
break
}
}
if (flag) {
e = mid - 1
}
else {
s = mid + 1
answer = mid
}
}
return answer;
}
- 효율성 테스트에서 한 문제도 통과하지 못했다.
- for 문을 두 번 진행했던 것이 시간을 낭비했던 것 같았고, 이를 한 번으로 줄여보았다.
function solution(stones, k) {
var s = 1, e = 200000000
var answer = 0;
while (s <= e) {
var mid = Math.floor((s + e) / 2)
var flag= 0, cnt = 0
for (var i = 0; i<stones.length; i++) {
if (stones[i] - mid < 0 ) cnt ++
else cnt = 0
if (cnt >= k) {
flag = 1
break
}
}
if (flag) {
e = mid - 1
}
else {
s = mid + 1
answer = mid
}
}
return answer;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웜홀 : 1865 Python (0) | 2022.07.04 |
---|---|
[백준] 최소 스패닝 트리 : 1197 Python (0) | 2022.06.30 |
[백준] 문제집 : 1766 Python (0) | 2022.06.29 |
[백준][위상정렬] 줄세우기 : 2252 Python (0) | 2022.06.26 |
[PROMGRAMMERS] 2022 BLIND RECRUITMENT : 양궁대회 Python (0) | 2022.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