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분 탐색 문제이다. 이전 문제들과 마찬가지로 중간값 검증을 어떻게 할 것인지, 범위를 어떻게 할지 가장 중요했다. 이분 탐색으로 내가 찾고 싶은 값은 만들어진 구간의 최소 값이다. 즉 중앙값을 기준으로 구간을 만들 때 문제에서 원하는 구간 개수가 가능한지 검증한 후, 더 적게 나온다면 문제에서 원하는 구간 개수를 만들 수 있다는 뜻이므로, 최솟값을 찾기 위해 중간값을 줄이고, 더 많이 나온다면 중간값을 올리는 과정으로 문제를 해결하였다. 다시 정리하자면, 내가 원하는 값(중앙값)으로 구간을 나눌 때 M개 이하로 만들 수 있다면, 내가 정한 값으로 M개의 배열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확실히 인지하여야 한다. 이를 이용하여 중앙값을 검증할 때, 내가 지정한 중앙값으로 배열의 최소 최대의 최대 차를 만들 수..
Python
프로그래머스 문제를 풀고 다른 사람들의 풀이를 보다가 collections의 Counter를 사용하여 딕셔너리를 이용해 푸는 문제를 두문 장정도로 깔끔하게 풀어내는 것을 보고 저 라이브러리는 뭘까 하며 알아보았다. 1. collections 1.1 collections collections모듈은 파이썬에서 일반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dict, list, set, tuple의 대안을 제공해주는 특별한 데이터 컨테이너들의 집합이다. 큐를 이용하는 구현을 할 때 사용하는 deque 역시 collections 모듈에서 사용할 수 있다. collections 모듈에는 활용도 높아 보이는 container들이 많이 보였는데 오늘은 그중 Counter에 대해 공부해 보았다. 2. Counter 2.1 Counter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