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로이드 와샬 알고리즘을 공부하면서, 백준에서 플로이드-와샬의 기본 문제를 풀어보았다. 처음 플로이드 와샬 알고리즘을 들어보았을 때 엄청 어려운 알고리즘일거같다고 느꼈지만 막상 코드 자체는 그리 복잡하지 않았다. 다익스트라처럼 최단거리를 알려주는 알고리즘인데, 다익스트라는 한점에서 다른 한 점까지의 최단거리를 구하는 알고리즘이지만 플로이드는 모든 점에서 모든 점까지의 최단거리를 알 수 있다. 또 다른 차이점은 플로이드는 이전에 구한 최소비용과 새로 구한 최소비용을 비교하면서 갱신하는 DP형태의 알고리즘이라면,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최소비용인 경우만 갱신하는 그리디 형태의 알고리즘이다. ( 플로이드 알고리즘을 공부하면서 내가 아직 다익스트라와 힙 자료구조에 대해서도 공부가 부족함을 깨달았다.) 플로이드 와..